마무리이자 시스템 자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포스트입니다.

Tusl2-c나 Cusl2-c 보드 두 가지가 모두 PCI 어디에 어떤 제품을 꽂는가에 따라 제품의 정상동작 유무가 결정되는 것 같네요.

앞의 포스트들에서 잠깐잠깐 언급했던 것과 같이 IRQ 문제 같습니다.

혹시나 이 보드를 이용해서 시스템을 구성하시는 분들은 확장 카드를 하나 하나 꽂아가시면서 드라이버를 다 잡아주시고 테스트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파워는 시소닉 380W 를 장착했습니다. 나이가 먹어서 그런지 Conroe1333-d667 보드와 Asus p5k 보드에서는 간간히 시스템이 멈춰버렸습니다만 펜티엄3는 전력소모가 적어서인지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장착했습니다.

문제가 생기는 것 같으면 바로 분해해서 콘덴서를 교환해보고 안되면 버려야죠.

나름 유명했던 사운드블라스터 128 입니다. 뒤에 희미하게 보이는 그래픽카드는 지포스4 MX440 입니다만. 역시 이 시대의 D-SUB 출력 색감은 엔비디아다! 라는 걸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예전에 구입해둔 코요테 USB 2.0 카드를 장착했습니다. 이녀석 드라이버를 잡는데 블루스크린이 많이 떠서 PCI 슬롯을 바꾸니 잘 되더군요.. 그 자리에 사운드카드를 꽂았는데 사운드카드도 잘 동작하는 것으로 보아, IRQ 충돌이 나는 것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Cf) XP 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슈퍼 멀티를 장착해줬습니다. 도스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으면 구형 CD롬의 벨트수리를 진행한 뒤 바꿔줄 계획입니다.

예전부터 사용하던 FDD 입니다. FDD도 기기마다 인식률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것 같아서 일단 쓰던 것을 계속 사용하려고 합니다.

백패널이 없어서 아쉽습니다. S VHS 단자를 요즘 그래픽카드에서는 찾을 수가 없어서 너무 아쉽습니다. 브라운관 TV에 연결해서 영상재생을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거든요.

확장 카드는 대략 이렇습니다. 맨 밑에 USB 2.0 카드가 또 달려있지요. 요즘의 메인보드와는 달리 그 당시는 행여 보드에 이런 기능들이 내장되어 있어도 기능이 형편없어서, 조금 여유가 있으면 따로 카드를 구입해서 장착하곤 했답니다.

대략 478 소켓 후기부터 보드에 내장된 것들이 조금 쓸만해졌네요. 내장랜 불량도 많이 줄었구요.

마지막 최종 조립 정리가 끝난 시스템 모습입니다. 후면 쿨러는 따로 있지가 않고 전면에 흡기용 80MM 팬을 수리해 장착한 후 마무리 지었습니다.

혹시나 다음에 여유가 된다면 윈도우 98 에서 인터넷 사용하기라는 주제로 포스트를 한번 더 작성해볼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osted by Suris
,